「국가 기후변화 적응 종합계획」요약

2008.11.20 125

수립배경 ‘07.5월 열린 제3차 기후변화대책위원회(위원장: 국무총리)에서 국가 기후변화 적응 마스터플랜 수립 결정 □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❍「국가 기후변화 적응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」학술용역 수행 - 연구기간/책임자: ‘07.12~’08.10/한화진(한국환경정책․평가연구원) ※ 참여연구기관(15개): 농업과학기술원, 건설기술연구원,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❍ 기후변화대책위원회 적응대책반 회의 개최(‘08.4.25, 9.18, 11.7) ❍「국가 기후변화 적응 종합계획(안)」공청회 개최(‘08.11.12) ❍ 적응대책반 소속 중앙행정기관의 협의(‘08.11)와 기후변화대책위원회 상정․확정(’08.12) □ 종합계획의 주요 내용 ❍ 계획 수립의 의의 및 성격 - 2030년까지 국가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는 최초의 국가기본계획 - 저탄소 녹색성장의 주요 행동계획이며, 범부처 참여형 계획 ❍ 국내․외 적응정책 여건 분석 - 국제사회에서 ‘기후변화 적응’의 위치 분석 - 외국의 적응전략 및 액션플랜 사례 소개 - 국내 적응대책의 수준 평가 및 환경변화 분석 ※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 대책의 現수준: 문제인식 단계 □ 비전, 목표, 추진전략 제시 ❍ 비전: 안전사회 구축 및 녹색성장 기회 창출 ❍ 목표 - 단기목표(2012년까지):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※ 지표: 한반도 시․공간적 취약성 지도 100 % 작성 - 장기목표(2030년까지): 기후변화 위험 감소 및 기회의 현실화 ※ 지표: 과거 10년(1991-2000) 대비 자연재해피해 10% 감소 기후변화 적응 신산업 총매출 GDP 대비 1 % 달성 ❍ 5대 추진 전략 - 기후변화 위험의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근거 마련을 위한 기후변화 위험평가 체계 구축 - 비용 효과적이고 지속가능 방식의 적응정책을 이행하기 위한 적응 프로그램 마련 - 적응역량 강화 및 인식제고를 위한 이해당사자의 파트너십 구축 - 적응 관련 국제협상 역량을 제고하고 국제협력과 기여 강화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 확보 - 적응행동 이행의 효과 증진을 위해 부문간 연계를 강화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 개선 □ 부문별 역점 추진과제 발굴(190여 과제) <출처 : 에너지관리공단 홍보교육실 (energy@kemco.or.kr )>

fi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