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rvices
Announcements
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환경규제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대비가 매우 소홀한 것으로 조사됐다.
16일 산업연구원(KIET) 한기주 연구위원이 최근 국내 948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'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산업계 인지도 실태조사' 결과 에 따르면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환경규제에 대한 대비여부에 대해 40.6%가 '적극 대비'라고 답한 반면 절반이 넘는 59.4%가 '대비 안 함'이라고 응답했다.
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은 73.5%가 적극 대비하고 있다고 답한데 비해 중소기업은 고작 29.3%만 응답, 대조를 보였다.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물음에도 '잘 알고 있다'는 응답은 27.3%에 그쳤 고 52.7%가 '약간 안다', 15.8%가 '잘 모른다', 3.7%가 '거의 모른 다'고 답했다.
이 가운데 대기업은 전체의 39.0%가 '잘 알고 있다'고 응답한데 비해 중소기업은 16.2%만 같은 대답을 해 역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인식 차이를 드러냈다.
기후변화협약의 영향에 대해서도 '매우 클 것'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9.0%, '상당히 클 것'이 50.7%에 이른데 비해 '영향이 별로 없을 것'(30.3%), '영향이 거의 없을 것'(2.7%), '모르겠음'(7.3%) 등 소극 적인 견해도 전체의 40.7%나 됐다. 총 시설투자 대비 온실가스 배출저감 투자 비중이 '5% 이상'이라는 응 답은 15.9%에 불과한데 비해 '1% 미만'이라는 대답은 23.9%나 돼 국내 기업들이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투자에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.
(2003.9.15 연합뉴스)